모든 그림의 출처는 책 ‘뉴만의 기능해부학 KINESIOLOGY’과 어플리케이션 ‘Human Anatomy Atlas(Visible Body)’입니다.
Chapter10. 몸통뼈대: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뉴만의 기능해부학 p.452-)
[머리목 영역: 근육의 해부학과 개별 작용]
-머리목 영역에서만 작용하는 근육은 두 가지로 나눈다: 1) 앞-가쪽. 2) 뒤쪽.
1) 앞-가쪽 머리목 영역의 근육:
-목빗근
-앞목갈비근 중간목갈비근 뒤목갈비근
-긴목근 긴머리근
-앞머리곧은근 가쪽머리곧은근
2) 뒤쪽 머리목 영역의 근육:
>얕은 근육무리:
-목널판근 머리널판근
>깊은 근육무리(=뒤통수밑근육):
-작은뒤머리곧은근 큰뒤머리곧은근
-위머리빗근 아래머리빗근
-다음 그림은 고리뒤통수관절(atloanto-occipital joint)을 통과하는 돌림축에 대한 근육의 부착부위에 따라 근육을 나누어 표시한 것이다.

1: 앞-가쪽 머리목 영역의 근육
1. 신경지배
-SCM: 척수더부신경에 의해 신경지배
-나머지 근육: 목신경얼기의 앞가지에서 나온 가지인, 이름 없는 작은 신경들에 지배
SCM 목빗근

1. 모양
-두 갈래
-부착: sternum과 clavicle ~ mastoid process와 위목덜미선의 가쪽 절반
2. 기능
-한쪽으로 수축➡️우세한 가쪽굽힘. 반대쪽 축돌림.
-양쪽으로 수축➡️굽힘시키거나 폄시킴.
-힘선: 사선의 모양으로 목뼈를 가로지른다.

-C3 위에 위치한 목빗근: 안-가쪽 돌림축(ML축)의 바로 뒤쪽을 지나감➡️약간의 폄 토크
C3 아래에 위치한 목빗근: 안-가쪽 돌림축(ML축)의 앞쪽을 지나감➡️강력한 굽힘 토크
-이러한 결합된 시상면 작용은, 머리내밈자세를 조장한다.
-SCM의 시상면 토크 발생 능력은, 머리목 영역의 초기 자세에 강력한 영향을 받는다. 아래쪽 목뼈가 굽힘된 위치에 있다면 굽힘토크는 거의 2배가 되는데, 머리내밈자세를 가진 사람에게서 더욱 명확히 나타난다. 즉, 머리내밈자세(머리앞쪽자세)가 영구화되기 쉬워진다.
Scalenes 목갈비근(앞/중간/뒤)
-어원: 라틴어 혹은 그리스어로, 불균일한 3개의 면을 가진 삼각형을 의미한다.
1. 신경지배
-팔신경얼기는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로 지나간다➡️목갈비근의 긴장 등은 팔에서의 운동장애나 감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 모양
-부착: 아래쪽 목뼈의 횡돌기 결절 ~ Rib1, 2
3. 기능
-목뼈가 잘 안정화된 경우➡️갈비뼈를 올림시킴➡️들숨을 보조함
-갈비뼈가 잘 안정화된 경우➡️목뼈를 움직이게 함
-한쪽 수축➡️목뼈를 가쪽굽힘
>앞목갈비근: 가쪽굽힘의 작용에서 SCM의 위쪽 섬유 다음으로 가장 큰 모멘트팔을 가진다.
>축돌림: 목갈비근들의 힘선의 평균은, 수직이 되기 때문에 축돌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전에 돌림된 위치에서, 머리목 영역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목갈비근의 중요기능이다.
-양쪽 수축➡️앞목갈비근은 목뼈를 약간 굽힘
>목갈비근들의 목뼈 부착부위는 모두 여러개의 개별 섬유다발로 나뉨➡️중간과 아래쪽 목뼈에 대해, 양쪽에서의 수직 안정성을 훌륭하게 제공한다.

Longus colli 목긴근, Longus capitis 머리긴근
1.모양
-목뼈 기둥의 양쪽에, 속장기(기도와 식도)의 깊은 쪽에 위치한다.
-목긴근:
>C1~T3의 앞면에 매우 밀착됨.
>다양한 근육다발로 구성됨.
>많은 부착부위를 통해 목뼈 영역을 상행함.
>근육 전체가 척주의 앞면에 붙는 유일한 근육.
>목갈비근, 목빗근에 비해 비교적 가늘다.
-머리긴근의 부착: 아래쪽 목뼈 횡돌기의 앞결절 ~ 뒤통수뼈의 바닥부
2. 기능
-앞세로인대와 같은 기능: 수직 안정성에 대한 능동 요소 제공
-목긴근:
>앞쪽 섬유: 목뼈 영역 굽힘➡️목뼈 앞굽음을 감소
>가쪽 섬유: (목갈비근과 함께) 목뼈 영역에 수직 안정성 제공
-머리긴근:
>일차적 작용: 위쪽 머리목 영역을 굽힘&안정화
>이차적 작용: 가쪽굽힘
Rectus capitis anterior 앞머리곧은근, Rectus capitis lateralis 가쪽머리곧은근
1. 모양
-부착: C1의 횡돌기 ~ 뒤통수뼈의 아래면
-짧다.
2. 기능
-작용은 고리뒤통수관절에 국한된다.
-앞머리곧은근: 굽힘근육
-가쪽머리곧은근: 가쪽굽힘근육
2: 뒤쪽 머리목 영역의 근육
1.신경지배
-목척수신경들의 뒤가지에 의해 지배된다.
Splenius cervicis 목널판근, Splenius capitis 머리널판근
-어원: 그리스어의 붕대(splenion)에서 유래됨
1. 모양
-한 쌍의 길고 가는 근육
-부착1: trapezius의 바로 깊은쪽에 위치하는 목덜미인대의 아래쪽1/2과 C7~T6의 횡돌기
-부착2: 목널판근은 C1~C3의 횡돌기의 뒤결절,
머리널판근은 SCM의 바로 아래 뒤통수뼈.
-목널판근과 levator scapulae는 목 부위에 동일한 부착부위를 가진다.
2. 기능
-한쪽 수축➡️머리와 목뼈의 가쪽굽힘, 같은쪽 축돌림. 머리널판근이 (더 길고, 섬유가 더 사선 방향이라서) 더 우세한 축돌림근육이 된다.
-양쪽 수축➡️위쪽 머리목 영역을 폄.

뒤통수밑근육들: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큰뒤머리곧은근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작은뒤머리곧은근
Oblique capitis superior 위머리빗근
Oblique capitis inferior 아래머리빗근
1. 모양
-짧지만 굵다.
-부착: 고리뼈, 중쇠뼈, 뒤통수뼈 사이에 부착된다.
-목의 매우 깊은쪽에 위치함.
-고리뒤통수관절과 고리중쇠관절의 바로 얕은 곳에 위치.
-쉽게 촉진할 수 없다.
-trapezius, 널판근들, 머리반가시근의 깊은 쪽에 위치.
2. 기능
-고리뒤통수관절과 고리중쇠관절에 대한 정밀한 조절을 제공
-근육방추의 밀도가 높다➡️머리의 위치와 움직임속도에 대한 신경되먹임을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균형, 평형, 눈-손 협응에 간접적으로 기여.
-뒤통수밑근육들은 짧은머리곧은근들과 함께, 위쪽 머리목 영역의 관절들에 대한 유일한 조절과 우세성을 갖는다.
내일은 이 근육들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아요!
'한의학 > 해부학 및 뉴만의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씹기(요약)과 환기(소개와 관절학) (0) | 2024.11.26 |
---|---|
머리목 영역: 근육들의 기능적 상호작용 (3) | 2024.11.23 |
상지질환 검사: 골프엘보우, 핀켈스타인, 팔꿈치티넬증후, 팔렌 검사 (0) | 2024.11.19 |
척주의 영역별 골학적 특징 (10) | 2024.11.14 |
몸통뼈대: 골학 및 관절학 (3) | 2024.11.13 |